강아지 마스크 코로나 19 양성 혹시 모르니까 써볼까

반려생활/반려정보 2020. 2. 29. 11:13

 

 

코로나19 바이러스 감염 확진자가 며칠 사이에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면서 공포감이 이만저만이 아닌데요. 

 


게다가 홍콩에서 코로나19 확진자와 함께 살았던 강아지가 코로나 검사에서 약한 양성 판정을 받았다는 기사까지 떴네요. 


이전 포스팅에서 반려견 코로나19 바이러스 괜찮다고 올렸었는데요.

저도 기사 보고 너무 놀란 마음에 찾아봤어요. 설채현 수의사님의 영상도 다시 봤고요. 

 

종합적으로 말씀드리자면 기사에서 "애완견은 아직 관련 증상을 보이지 않고 있다"라는 문구가 있잖아요.

 

이 문구에 집중해보세요?

 

확진자가 기침을 했을 거 아녜요.  그러면 바이러스가 침이나 가래를 통해 밖으로 나왔을 수 있대요.


그러한 상황에서 강아지가 코를 킁킁거리면서 냄새를 맡았을 건데요. 

 

그로 인해 바이러스 감염 자체가 아닌 몸에서 묻은 바이러스에 의해 반응이 나왔을 수 있다네요. 

 

 

설채현 수의사님 말에 따르면 PCR이라는 검사 자체가 바이러스의 유전자를 증폭시켜서 하는 검사인데요.


감염이 증폭되지 않은 상태에서 묻어 있는 소량의 바이러스를 검사하면 약한 양성 반응이 나타날 수 있대요.


즉, 실제로 반려견의 점막을 침투한 것이 아닌 묻어있는 바이러스를 샘플을 채취했을 가능성이 농후하다는 건데요. 


기사를 다시 자세히 읽어보면 "세계보건기구(WHO) : 반려동물이 코로나에 감염될 수 있다는 증거가 아직 없다"고 한다고 밝히기도 했고요.  


다시 말해, 수의사님은 "우연히 묻어 있어서 걸렸거나 실험 오류일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한다"라고 하시네요. 

만약에 반려견이 바이러스에 감염된다면 예전부터 증상이 나왔어야 한다고요.


물론 변이되어 코로나에 감염됐을 확률이 있긴 하지만 확률이 너무 낮다고 합니다. 

 

제가 어떤 기사를 찾아보니까 "코로나 중간숙주로 알려진 동물들이 대부분 야생동물이어서 강아지와는 거리가 멀다"고도 하니... 한시름은 놨네요. 그래도 약간 불안함이 가시질 않네요.

 
산책을 갔다가 바이러스가 몸에 묻어서 우리 강아지한테는 괜찮더라도 혹시 모르잖아요...ㅜ

그리고 강아지한테 묻은 바이러스가 사람에게도 전이될 수 있는 거고요! 강아지랑 뽀뽀도 많이 하는데..ㄷㄷ

 

그래서 생각해봤는데, 강아지 마스크 사용하고 산책 후 몸 닦아주는 게 최선일 것 같아요. 

 

강아지 마스크 찾아보니까 환풍구 있는 것과 없는 것이 있고 예전보다 가격이 너무 올랐더라고요...ㄷㄷ


그리고 강아지가 마스크 답답해할 수 있으니 착용 후 훈련(보상 - 간식, 칭찬 반복)이 필요하다고 하는데요.

 

일단 강아지 마스크 주문하고 해보려고요... 

 

링크 달아드릴게요. 설채현 수의사님 영상 참고해보세요! 

 

 

https://www.youtube.com/watch?v=D-S6GNY7yug

 

설정

트랙백

댓글

강아지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우한 폐렴 오해와 진실

반려생활/반려정보 2020. 2. 2. 15:13



코로나 바이러스는 호흡기나 소화기 증상을 일으키는 동물에게 흔한 바이러스입니다. 

* 코로나 바이러스가 단일 바이러스가 아닌 동일 특성을 가진 바이러스를 종합해서 이르는 말이라고 보면 됩니다. 

바이러스는 종 특이성이 있기 때문에 어떤 종의 바이러스가 다른 종으로 넘어가기 어렵습니다. 

 

하지만 간혹 가다 바이러스 변이가 나타나면 다른 종으로 넘어가기도 하는데 이때부터 커다란 문제가 되는 겁니다. 


사스(Sars)때는 사향 고양이의 코로나 바이러스가 사람에게 전파되었었고.

메르스(MERS) 때는 낙타의 코로나 바이러스가 사람에게 넘어가 문제가 되었었습니다. 

 

일명 우한 폐렴이라 불리는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는 발열, 기침, 호흡 곤란, 폐렴 등이 주요 증상이고

 

기침과 재채기로 전파된다고 알려졌습니다. (감염자의 침방울이 호흡기나 눈, 코, 입의 점막으로 침투되었을 때 전염)

 

박쥐의 코로나 바이러스가 원인이라고 추측되고 있습니다. 

우한 폐렴은 박쥐로 추정되는 코로나 바이러스가 변이돼 사람에게 최초로 감염되었다고 보고 있지만,


이후 전염은 사람간의 전염만 확인되고 있습니다. 

바이러스 자체가 다른 종으로 건너가 감염되는 일이 굉장히 어려운 일이라, 

 

사람 코로나 바이러스가 강아지에게  옮길 가능성은 굉장히 희박하다고 합니다.

없다고 보아도 무방하고 역으로 강아지에게서 사람으로 전파되는 일도 마찬가지입니다. 

 

또한, 강아지 예방접종 중 하나인 강아지 코로나 바이러스는

 

현재 문제가 되고 있는 우한 폐렴과는 전혀 별개라고 볼 수 있습니다. 

 

즉, 우한 폐렴 바이러스와 개 코로나 바이러스는 전혀 다른 바이러스이고, 

현재 문제가 되고 있는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때문에 강아지에게 코로나 백신을 맞추실 필요는 없습니다. 


물론 매년 예방접종으로 맞추는 경우는 제외하고요. 


아래 링크를 통해 설채현 수의사님이 유튜브에서 올리신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에 대한 정보를 확인해보세요! 

 

 

https://youtu.be/xgtI7edEmJ0

 

설정

트랙백

댓글

강아지에 대한 7가지 흥미로운 사실

반려생활/반려정보 2020. 1. 19. 18:22

 

오랜만입니다. 어제 재미있는 기사를 읽었어요. 강아지에 대한 흥미로운 사실이라는 기사였어요. 
  

1. 냄새로 사람의 병을 알아챈다. 


주인이 암이나  당뇨병, 간질을 앓고 있다면 강아지가 사실을 가장 먼저 알게 된다고 해요.    

왜냐하면 강아지는 암세포에서 나오는 독특한 냄새를 찾아내는  후각이 뛰어나기 때문이에요. 
 
훈련 받은 강아지는 환자의 혈당 변화에 따른 냄새를 감지할 수 있다고 하네요. 

간질 환자의 발작이 시작되기 45분 전에 인지할 수 있는 능력도 있는데, 이는 어떤 냄새와 미묘한 행동변화를 인지하

는 능력에서 기인된다고 해요. 


 
2. 성격이 좋은 강아지가 오래 산다. 

 


논란이 될 만한데,  순종하고 복종하는 강아지가 오래사는 반면 용감하고 공격적인 견종은 일찍 죽었다고 해요.   

왜냐하면 성격이 사나운 개는 상대적으로 빨리 자라고, 보다 많은 에너지를 필요로 했다고 해요. 

 

 

그런데 말이에요, 강아지의 사나운 성격은 태생적이지 않으며 반려인의 문제라는 연구결과가 있어요. 

스페인 코르도바대학 연구팀은 사나운 성격을 가진 강아지를 대상을 분석해봤다고 해요. 

연구 결과 반려인의 교육방식이 강아지 사나운 성격에 결정적인 요인이 되었다고 해요.  

 
연구 결과 공격성이 높은 강아지의 약 40%가 반려인에게 기본적인 교육을 제대로 받지 않았다고 해요.  

한편, 강아지의 응석을 너무 받아줘도 공격성을 높이는 원인이 된다고 해요. 
  

강아지가 사나운 성격을 가지게 되는 이유가 사람에 대한 존경심이 부족해졌기 때문이라고 해요. 


따라서  강아지 사나운 성격은 태생적으로 결정되기보단 재교육을 통해 수정이 가능하다는 거지요. 

  

3. 강아지도 질투를 한다. 

 
강아지도 자신이 공정한 대우를 받지 못한다는 사실을 안다고 해요. 

 

강아지는 칭찬을 받은 강아지와 칭찬을 받지 못한 강아지를 비교했을 때, 칭찬을 받지 못한 강아지는 흥분하면서 자신의 몸을 긁어대거나 칭찬을 받은 강아지의 시선을 피한다고 해요. 

 


4. 포유류 가운데 가장 다양한 외모

 
강아지들은 매우 다양한 외관을 가지고 있는데, 해외 논문에 따르면 견종에 따른 두개골의 차이는 포유류의 완전히 다른 종만큼이나 차이가 컸대요. 

 

예를 들어 콜리와 페키니즈의 두개골 차이는 고양이와 바다코끼리의 차이만큼이나 크다고 해요. 

 

5. 표정만 불쌍해 보일 뿐이다. 

 
강아지에게 야단을 치면 눈치를 살피면서 불쌍한 표정을 짓는데요. 

 

그러나 이는 잘못을 인정해서 짓는 표정이 아니라 단순히 질책을 하는데 대한 반응일 뿐이래요. 

 
6. 2살 아이 수준의 지능을 갖고 있다. 

 
미국심리학회에 보고된 연구에 따르면 강아지는 2살 아기 수준의 지능을 갖고 있다고 해요. 

 

보더콜리가 가장 지능이 높은데 200단어를 이해하는 강아지도 있다고 해요. 

 

푸들, 독일 세퍼드, 골든 리트리버, 도버만 등이 가장 똑똑한 5대 견종에 속한다고 해요. 

 
사냥개와 불독 등은 상대적으로 지능이 떨어지며, 사람에 대한 친밀감이 높게 개량된 최근의 견종에 비해 오래된 견종들은 냄새 맡기와 사냥을 잘하도록 길들여져 왔기 때문에 두뇌보다는 근육이 더 잘 발달돼 있다고 해요. 

 


7. 병을 감염시킬 수 있다.

 
강아지는 인체에 해로운 병균을 사람에게 옮길 수 있다고 해요, 대표적인 경우가 광견병이에요. 

 

치명적인 신경계 질병인 관경병은 예방주사로 막을 수 있어요. 간혹 강아지의 사료가 살모넬라균의 오염에 의해 사람에게 식중독을 일으킬 수 있다고 해요. 

가장 충격적인 것은 개회충에 대한 논문이에요.

 

개회충은 강아지의 내장에서 자라지만 사람의 눈 속에서도 살 수 있기 때문에 실명을 초래 할 수 있다고 해요.

 

개회충은 사람의 심장이나 폐에서도 생존이 가능한데요. 다행인 점은 사람이 개회충에 감염되는 경우는 별로 없고 강아지를 수의학적으로 적절하게 돌보기만 하면 개회충의 감염을 막을 수 있다고 해요.

 

개회충의 감염을 막기 위해서는 강아지를 만진 후 음식을 먹을 때 손을 씻는 것이 좋답니다.  

설정

트랙백

댓글

강아지 탈모 원인 다양하다

반려생활/반려정보 2020. 1. 5. 19:30

 


강아지 탈모는 수명이 다한 털은 빠지고 새로운 털이 자라는 과정이기 때문에 정상적인 결과입니다. 


강아지는 환절기나 스트레스를 받았을 때 털이 빠지는 양이 많아질 수 있답니다. 

 

하지만 탈모가 특징적인 형태로 나타나거나 피부가 드러날 정도로 너무  심하게 빠진다면 질병을 의심해보아야 합니다. 


강아지 질병이 의심되는 탈모 증상은 4가지가 있답니다.


1. 피부가 드러날 정도로 털이 빠진다.

2. 특정 부위만 털이 빠진다. 
(원형 탈모, 엉덩이 부위, 목 주위, 대칭성 탈모 등)

3. 탈모와 더불어 피부가 이상해진다. 
(피부의 끈적거림, 냄새, 피부가 얇아지거나 두꺼워진다.)

4. 탈모된 부위에 각질, 발적, 색소 침착 등의 증상이 동반된다. 

 

 

탈모가 나타나는 원인은?

 

1. 선천적인 원인

모낭 형성 부전

2. 후천적 원인

- 알레르기, 아토피 
- 세균이나 곰팡이 등의 감염성 질환
- 피부 기생충이나 진드기 등의 외부 기생충 질환
- 호르몬 질환 (부신피질 호르몬, 갑상선 호르몬, 성호르몬)
- 면역 매개성 질환
- 행동학적 문제 (핥는 부위의 털빠짐) 
- 임신성 탈모
- 특발성 탈모 (원인 불명) 

 

이처럼 탈모가 나타나는 원인은 다양하며, 육안으로는 탈모 원인을 알기가 어렵습니다. 

 

게다가 원인에 따라 치료법이 달라지기 때문에 원인을 찾기 위한 검사가 필요한데요. 

 

탈모 검사는 기본적인 병력 확인, 세균 및 곰팡이 배양 검사, 알레르기 테스트, 호르몬 검사, 조직 검사 등이 있답니다. 

 

검사는 가장 의심되는 원인과 관계된 순서부터 순차적으로 진행합니다. 

 


강아지 탈모는 무엇보다 정확한 진단으로 근본원인을 밝혀내고 이에 따른 치료를 진행해야 확실히 개선될 수 있답니다. 

 

원인이 밝혀지기까지 시간이 많이 걸릴 수 있으므로 그 사이에 감염이 되지 않도록 조심하도록 합니다. 

 

발모를 촉진할 수 있도록 내복약이나 피부 영양제, 약용 삼푸 등으로 관리를 꾸준히 하도록 노력해야 하고요. 


원인에 따라 차이가 있겠지만 정확한 원인 파악 후 치료를 진행하면 털이 다시 자라나는 경우가 많으니 인내심을 가지고 탈모 치료를 진행해보시길 바랍니다. 

 

설정

트랙백

댓글